티스토리 뷰
[한국 좌표계 정리]
주로 좌표계를 정할 때는 2가지를 GCS(Geographic coordinate system),PCS(projected coordinate system)를 정해야한다.
이는 다음과 같이 쉽게 풀어쓸 수 있다.
GCS: 어떤 지구본을 쓸까
PCS: 어떻게 지도(2D)로 나타낼까(project)
예를들어 한국 도로명주소가 UTM-K, GRS80 좌표계라고 하면 GCS가 GRS80, PCS가 UTM-K인 것이다.
또한 GRS80=WGS84 임을 유의하자.
※ ARC를 쓸 때 같은 타원체를 지칭하지만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. 이는 고맙게도 biz-gis 유저 조덕연씨가 정리해둔 것이 있다. (출처: http://www.biz-gis.com/index.php?mid=pds&document_srl=67335)
※ QGIS의 주요 좌표계에는 이 블로그에 잘 정리되어있다. (https://visualizingstory.wordpress.com/2013/04/24/%ED%95%9C%EA%B5%AD-%EC%A3%BC%EC%9A%94-%EC%A2%8C%ED%91%9C%EA%B3%84-epsg%EC%BD%94%EB%93%9C-%EB%B0%8F-proj4-%EC%9D%B8%EC%9E%90-%EC%A0%95%EB%A6%AC/)
- Korean1985(공식명칭, ArcGIS사용명칭) > Bessel1841 > Tokyo
- ITRF2000 > GRS80 > Korea2000(ArcGIS사용명칭) > KGD2002(공식명칭)
- WGS1984 > Korean1995(공식명칭, ArcGIS사용명칭
이렇듯 한국의 대부분 자료는 GCS가 Bessel1841, GRS80, WGS84 중 하나 일 것이다.
그렇다면 PCS는?
PCS는 3D인 지구본을 어떻게 2D 지로로 나타내는 방법이다. TM, UTM-K 가 대표적이다.
UTM-K는 한국 환경에 맞게 딱 맞췄다고 보면 된다. (central meridian = 127.5)
TM은 서부원점(125), 중부원점(127), 동부원점(129), 동해원점(131)을 중심으로 project한 4가지 방법이 있다.
False Northing, Easting 도 데이터마다 다를 것이다. 데이터를 잘보고 좌표계를 맞출 때 유념하자.
참고) QGIS에서는 EPSG:5179 : UTM-K(GRS80) 이다.
최근 나오는 자료는 다 이거니까 QGIS에서는 5179를 일단 써보자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Knowledge Discovery
- 공간빅데이터
- #빅데이터
- contains
- visualization
- GIS
- 빅데이터
- 좌표계
- Cartography
- 지도학
- 시각화
- VGI
- #big data
- shp파일 읽기
- intersect
- geopandas
- mapclassify
- 공간관계
- within
- terminology
- KD
- data mining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